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글로벌 ETF 시장과 수혜를 입는 해외 기업들

by applejoa_yo 2025. 3. 28.

목차

  1. ETF 시장의 성장, 왜 중요한가
  2. ETF 생태계의 주요 참여자
  3. ETF 관련 글로벌 상장기업 5곳 분석
  4. 실제 투자자 입장에서 본 기업별 특징
  5. ETF 관련주 투자 시 고려할 사항
  6. 결론: ETF 외곽에서 기회를 찾다

1. ETF 시장의 성장, 왜 중요한가

ETF는 지난 20년간 글로벌 자산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금융 상품 중 하나다.
특히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ETF는 단순한 지수 추종 수단을 넘어,
자산 배분, 테마 투자, 채권 및 원자재 거래의 주요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시장조사업체 ETFGI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전 세계 ETF 운용 자산 규모는 약 10조 달러를 돌파했으며,
매년 평균 15~20% 수준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개인 투자자뿐 아니라 기관 투자자들까지 ETF를 활용하면서
ETF는 단일 상품이 아닌 하나의 금융 인프라 생태계로 진화하고 있다.

ETF가 커진다는 것은 단순히 상품 판매량이 늘어난다는 의미를 넘어,
ETF를 만드는 운용사, 인덱스를 제공하는 기관,
상품 거래를 지원하는 인프라 기업들의 수익 구조도 함께 성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ETF 생태계의 주요 참여자

ETF는 다양한 주체가 함께 협력해 만들어진다.
일반 투자자들은 ETF의 수익률이나 종목 구성에만 주목하지만,
실제로는 그 이면에 여러 산업의 기업들이 얽혀 있다.

주요 참여자는 다음과 같다:

  • 자산운용사: ETF를 설계하고 운용하는 중심 주체
  • 지수 제공업체(Index Provider): ETF가 추종할 벤치마크 지수를 만들고 라이선스를 제공
  • 거래소 및 청산기관: ETF가 상장되고 거래되는 시장 인프라
  • 마켓메이커/증권사: ETF의 유동성을 제공하고 가격을 안정시키는 역할
  • 데이터·평가기관: 펀드 기준가, ESG 평가, 시장 데이터 제공

이들 중 특히 상장되어 있어 투자 대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업들이 있다.
ETF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이들 기업도 구조적으로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3. ETF 관련 글로벌 상장기업 5곳 분석

BlackRock (NYSE: BLK)

세계 최대의 자산운용사이며, 대표 ETF 브랜드인 iShares 시리즈를 보유하고 있다.
운용자산 규모는 10조 달러 이상으로, 그 중 상당 비중이 ETF에서 나온다.
ETF는 블랙록의 수수료 기반 수익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요소로 작용한다.

블랙록은 최근 테마형, ESG ETF, 채권 ETF 등 다양한 상품 라인업을 확장 중이며,
기관 투자자 대상 ETF 자문 서비스도 강화하고 있다.

S&P Global (NYSE: SPGI)

대표적인 지수 제공업체 중 하나다.
S&P500, S&P400, S&P600 등 주요 지수를 관리하며,
ETF 운용사들은 이 지수를 기반으로 상품을 설계하고 S&P에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한다.

지수 라이선스 수익은 반복적이고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가진다.
또한 SPGI는 신용평가, 시장정보 분석 등 ETF 외 영역에서도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진행 중이다.

MSCI Inc. (NYSE: MSCI)

전 세계 ETF 중 MSCI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 수백 개에 이른다.
특히 신흥국 지수, ESG 지수, 섹터 지수 등에서 강점을 가진다.
MSCI는 지수 제공 외에도 분석 툴, ESG 평가 등 부가 서비스에서 높은 수익률을 내고 있다.

기술 기반으로 데이터 제공과 분석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며,
ETF 산업 내 지수 시장에서 독점적 위치를 가진 점이 투자 포인트다.

Intercontinental Exchange (NYSE: ICE)

뉴욕증권거래소(NYSE)를 포함한 세계 주요 거래소를 운영하는 기업이다.
ETF는 모두 상장 거래 상품이기 때문에 거래소의 수익과 직결된다.
거래 수수료, 청산 수수료, 마켓데이터 판매 등 다양한 수익원이 존재한다.

ICE는 특히 미국 ETF의 대부분이 상장된 NYSE를 보유하고 있어
ETF 거래량 증가 시 직접적인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

FactSet Research Systems (NYSE: FDS)

ETF 데이터와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운용사, 기관투자자, 애널리스트들이 ETF 리서치와 벤치마크 분석에 활용하는 데이터 플랫폼을 제공한다.
수익 구조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의 구독 기반으로,
ETF 산업의 성장과 함께 매출 안정성도 확보된다.


4. 실제 투자자 입장에서 본 기업별 특징

ETF 관련 글로벌 기업들은 공통적으로 반복 가능한 수익 구조, 고정된 고객군, 산업 성장성이라는 요소를 가진다.
그러나 주식 투자 대상으로 접근할 때는 몇 가지 구분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블랙록은 배당 수익률이 높고, 안정적인 대형주로서 장기 포트폴리오의 기둥 역할이 가능하다.
  • MSCI SPGI는 고PER 주식으로 평가되며, 시장이 좋을 때 더욱 빠르게 상승하지만, 반대로 조정 시 낙폭도 클 수 있다.
  • ICE는 거래소 및 파생상품 구조에 특화된 기업으로, ETF뿐만 아니라 전체 금융 시장 활성화 여부에 민감하다.
  • FactSet은 비교적 중소형 성장주에 가깝고,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라는 특성상 기술주로 분류되기도 한다.

단순히 "ETF 관련주니까 좋다"는 접근보다는,
이들 기업의 수익 구조와 시장 포지션을 정확히 이해하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5. ETF 관련주 투자 시 고려할 사항

  1. 지속성 있는 수익 구조인가
    지수 제공 수익, 거래 수수료, 데이터 구독료 등은 지속성 높은 수익원이다.
  2. ETF 성장 외 다른 포트폴리오도 보유하고 있는가
    ETF에만 의존하는 기업은 시장 사이클에 더 민감할 수 있다.
  3. 기업의 경쟁력은 독점 구조에 가까운가
    SPGI, MSCI처럼 시장 점유율이 높고 진입장벽이 높은 기업이 더 안정적이다.
  4. 실적 추세와 밸류에이션
    ETF 산업이 성장하더라도 개별 기업의 주가는 실적과 기대치에 따라 다르게 반응한다.

6. 결론: ETF 외곽에서 기회를 찾다

ETF 자체는 분산과 안정성의 상징이지만, 때로는 ETF가 만들어지는 ‘뒷단’에 있는 기업들에서
더 큰 성장이 일어날 수 있다.

ETF 수수료 구조, 운용 방식, 유통 시장, 데이터 제공 등
ETF가 유지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구조는 결국 누군가의 매출이자 이익이 된다.

단순히 ETF 상품 자체만 볼 것이 아니라,
ETF의 본질인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금융 생태계”를 주목하는 것이
투자자로서 더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는 방법이다.